마음의 구조 불교에서 말하는 마음의 구조 위에서 불교는 자신의 주인공인 '참나' 또는 '불성(佛性)'를 찾는 것이 목적이라고 설명을 하였습니다. 그렇다면 도대체 불성이란 무엇인지 알아 보도록 하겠습니다. 불교의 각종 경전과 교리서중에서 가장 정교하게 대승의 수행방법이 정리가 된 문헌이 바.. 지혜의 공간 2019.07.14
달마에서 혜능까지 - 중국 선종의 법맥 초조 달마에서 육조 혜능까지... 중국 선종의 법맥 (1祖)석가 - (2祖)마하가섭... - (28祖)達摩 .... (33祖) 初祖 達摩 - 二祖 慧可 - 三祖 僧璨 - 四祖 道信 - 五祖 紅忍 - 六祖 慧能 안심법문(安心法問) 初祖 達摩 (달마) 명나라 시대 대신들은 조회에 들어갈 때 학의 머리에 들어있는 극독중의 극.. 지혜의 공간 2019.06.30
생사는 무엇인가? 지유스님: 그렇다면 생사(生死)란 무엇인가 ? 마음 속의 생각이다. 난 줄로 알고, 죽은 줄로 알고, 온 줄로 알고, 간 줄로 알고 있는 생각이다. 생각은 환상(幻想)이니 생사거래(生死去來)란 실체(實體)없는 그림자에 지나지 않는 것이다. 마음 하나를 미(迷)하여 무변(無邊)의 번뇌(煩惱)를 .. 지혜의 공간 2019.06.30
화두 공안의 圓相에 대한 이해 화두 공안의 圓相에 대한 이해 위앙종(潙仰宗)은 중국의 위산영우(潙山靈祐, 771~853)와 그 제자인 앙산혜적(仰山慧寂, 803~887)을 개조로 하는 종파로서, 우리나라에는 통일신라시대에 대통원랑(大通圓朗, 816~883)이 처음 전래하였다. 그 이후 요오순지(了悟順之, 생몰년 미상)에 의해 계승되.. 지혜의 공간 2019.06.30
화내는 것이 제일 큰 허물입니다.(대방광불화엄경 보현행품 중에서) 화엄경을 보는 중에 화내는 것, 특히 다른 보살님께 화내는 것이 얼마나 큰 잘못인지 알게 해주는 경문을 보고 제 스스로 돌아보고, 참회하는 마음으로 이 글을 나눕니다. 이 세상에 보살아닌 존재가 없기에 이 경문을 통해 화내는 일이 얼마나 공부하는데 장애가 되는지 자각하는 기회가.. 지혜의 공간 2019.06.16
4대보살 : 문수보살 문수보살 대지문수사리보살 산스크리트 Mañjuśrῑ를 음사한 문수사리(文殊師利)의 별칭이다. Mañjuśrῑ라는 산스크리트는 묘길상(妙吉祥)이라고도 번역되며 묘음보살(妙音菩薩)이라고도 한다. 또 바기슈바라(Vāgῑśvara:언어의 주인)라고도 한다. 문수보살이 나오는 경전은 250년 무.. 지혜의 공간 2019.06.02
4대 보살 4대보살 어리석은 사람이나 현명한 사람, 악한 사람이나 선한 사람, 부유한 사람이나 가난한 사람, 고귀한 사람이나 천한 사람 등을 가리지 않고 누구나 구제하려는 폭넓은 입장의 불교가 바로 대승불교이다. 이 대승이란 말을 처음 사용한 사람은 보살(bodhisattva)이다. 이 보살들은 대승불.. 지혜의 공간 2019.06.02
초의 의순(艸衣 意洵)선사 초의 의순(艸衣 意洵 1786~1866)선사 침체된 조선 불교의 선풍을 크게 진작 시킨 대선사로서, 또는 겨우 명맥만 유지해오던 한국의 다도(茶道)를 중흥시킨 다성(茶聖)으로서, 그리고 조선의 시풍(時風)을 투명하게 전수한 시인(詩人)으로서, 한국문화에 큰 발자국을 남긴 고승이다. 자는 중부(.. 지혜의 공간 2019.06.02
신미대사(信眉大師) 신미대사(信眉大師, 1403~1480) 충북 영동에서 부친 김훈(金訓)의 장남으로 출생하였다. 유학자이며 숭불을 주장한 김수온(金守溫)의 형님으로 본명이 수성(守省), 본관은 영산(永山)이다. 모친의 뱃속에서 나올 적부터 왼손 손바닥에 임금왕(王)자가 손금에 있어 부모와 삼촌들은 크나큰 걱.. 지혜의 공간 2019.06.02
강릉대성사 현각스님(비구니) 신행일기 강릉대성사 현각스님(비구니) 신행일기 강릉 대성사에 계시는 현각스님은 열네살에 스님이었던 이모님의 손을 잡고 오대산 월정사 지장암으로 입산해서 올해 일흔두 살이 되셨습니다. 대단히 선이 굵은 내면을 지니신 스님은, 그러나 아직도 소녀처럼 곱고 순수한 모습을 지니고 계십니.. 지혜의 공간 2019.05.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