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날마다 정진하라 久久不退 必有入處 - 大慧普覺大師 날마다 꾸준히 참고 정진한다면 반드시, 이루지 못할 것이 없다 '노력하는 자에게는 당할 도리가 없다'는 말이 있습니다. 그런데 어떤 이들은 불교가 너무 어렵고 깨닫는 데 시간이 많이 걸리며, 깨달은 자도 적으니 현대 사회에는 맞지 않는다고 합니.. 큰스님들 이야기 2018.01.21
[스크랩] 눈 덮인 들길 걸어갈 때 踏雪野中 不須胡亂行 今日我行跡 遂作後人程 - 西山大師 눈 덮인 들길 걸어갈 때 모름지기 아무렇게나 걷지 말라 오늘 내 발자국은 반드시 뒷사람의 길이 될지니! 김구 선생의 좌우명이 바로 이 서산 대사의 말씀이셨다고 합니다. 우리가 무심코 내뱉은 말 한 마디, 행동 하나하나가 자녀.. 큰스님들 이야기 2018.01.21
[스크랩] 미친 바람 앞에 우뚝한 바위처럼 我見凡愚人 多畜資財穀 飮酒食生命 謂言我富足 莫知地獄深 唯求上天福 罪業如毘富 豈得免災毒 財主忽然死 爭共當頭哭 供僧讀文疎 空是鬼神祿 福田一箇無 虛說一群禿 不如早覺悟 莫作黑暗獄 狂風不動樹 心眞無罪福 奇語兀兀人 叮嚀再三讀 - 寒山ㆍ習得 내 저 미련한 사.. 큰스님들 이야기 2018.01.21
[스크랩] 그대여! 일체(一切) 세간사(世間事) 모든 애착(愛着)을 놓으라. -그대여! 일체(一切) 세간사(世間事) 모든 애착(愛着)을 놓으라.- 젊었을 때는... 인생(人生)이 무척 긴 것으로 생각하나, 늙은 뒤에는 살아온 젊은 날이 얼마나 짧았던가를 깨닫는다. 젊음은 두 번 다시 오지 아니하며 세월(歲月)은 그대를 기다려주지 아니한다. 빈손으로 왔다가 빈손으로 .. 생활속의 불교 2018.01.21
[스크랩] 인연은 받아들이고 집착은 놓아라. -인연은 받아들이고 집착은 놓아라.- 미워한다고 소중한 생명에 대하여 폭력을 쓰거나 괴롭히지 말며, 좋아한다고 너무 집착하여 곁에두고자 애쓰지 말라. 사랑하는 사람에게는 사랑과 그리움이 생기고 미워하는 사람에게는 증오와 원망이 생기나니 사랑과 미움을 다 놓아버리고 무소의 .. 생활속의 불교 2018.01.21
[스크랩] 경허스님 청심(淸心)법문 경허스님이 학인들과 대중들에게 법문을 하기 위해 법상에 올라 다음과 같은 게송을 읊었다. 還得到來別無事 常樂我淨無爲道 一笑不知何處去 安眠春水碧如藍 다시 돌아오니 별일 없구나 항상 청정을 기뻐하니 도 닦는 일 없도다. 한 번 웃으니 어느 곳에 갔는지 모르고 편안히 자니 봄물.. 불교의 기본입문 2018.01.21
[스크랩] 발심수행장 -- 해제 – 한국 불교사에서 출가수행과 발심수행을 직접적으로 권고하는 글은 현존문헌 가운데 원효대사의 발심수행장이 최초이다. 원효대사는 신라인들의 구심적인 정신원리로 불교신앙을 일반대중들에게 고취시키고자 하는 염원이 간절하였다. 그러므로 원효대사는 불교 본연의 .. 불교의 기본입문 2018.01.21
[스크랩] 佛敎의 天界 28天 천계란 윤회(輪廻)세계의 하나입니다. 불교에서는 모든 생물은 윤회전생(輪廻轉生)하는 세계로서 다음 여섯 가지 세계를 생각하고 있습니다. 괴로움이 큰 것부터 순서대로 열거하면, 1. 지옥(地獄)…「지하의 뇌옥(地下의 牢獄)」의 뜻. 2. 아귀(餓鬼)…굶주려 있는 상태입니다. 3. 축생(畜.. 불교의 기본입문 2018.01.21
[스크랩] (천상의 세계) 욕계 6천 색계 18천 무색계 4천=28천 (천상의 세계) 욕계 6천 색계 18천 무색계 4천=28천 욕계 제2천인 도리천은 지상에 있는 가장 높은 신들의 세계이다. 따라서 도리천이 지상의 가장 높은 장소인 셈이다. 이 도리천 위에 도합 26개의 하늘나라〔26天〕가 층층이 쌓여 있으며 그 맨 위의늘의 세계마저 뛰어넘은 것이 붓다의 세계.. 불교의 기본입문 2018.01.21
[스크랩] 불교용어 살펴보기 ○ 삼법인(三法印) : 세가지 진리 (1) 제행무상(諸行無常) : 만들어 진 것들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한다. (2) 제법무아(諸法無我) : 그러므로 만들어진 것에는 고정된 실체가 없다 (3) 열반적정(涅槃寂靜) : 고정된 실체가 없음을 알게 되면 열반에 이른다. ○사성제(四聖諦) : 네가지 성스런 .. 불교의 기본입문 2018.0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