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화경 72

일념삼천(一念三千)

일념삼천(一念三千)이란 천태대사(天台大師)께서 내세운 교리인데 한 생각(一念) 가운데 삼천제법(三千諸法)을 갖추고 있다는 것입니다. 우리들의 한 순간적인 마음에 우주만유가 갖추어져 있다는 것을 표현한 것이 일념삼천설인데, 범부의 순간적인 한 생각이 삼천제법을 갖추고 있다는 교리입니다. 이 법계는 십법계(十法界)로 나누고 있습니다. 범부계 육도(六道)와 성인사계(聖人四界)가 있으니, 지옥, 아귀, 축생, 아수라, 인간, 천(天)은 범부 육계이며 성문, 연각, 보살, 불(佛)은 성인 사계입니다. 범부 육계는 미계(迷界)이니 미혹의 세계이며, 성인 사계는 깨달음이 있는 오계(悟界)입니다. 온갖 존재하는 것은 십법계(十法界)를 벗어날 수 없으므로 이 십법계 하나 하나가 제각기 십법계를 갖추고 있으니, 백법계가 ..

법화경 알기 2021.03.28

우리말 법화경/영인스님 독경 듣기 - 이도경님의 불로그 "수행정진"

우리말 법화경/영인스님 독경 듣기 http://blog.daum.net/nana2748lee 1 우리말 법화경/ 서품 2 우리말 법화경 / 방편품 3 우리말 법화경/비유품 4 우리말 법화경/신해품 5 우리말 법화경/약초유품 6 우리말 법화경 / 수기품 7 우리말 법화경/ 화성유품 8 우리말 법화경/오백제자수기품 9 우리말 법화경/수학무학인기품 10 우리말 법화경/법사품 11 우리말 법화경/견보탑품 12 우리말 법화경/제바달마품 13 우리말 법화경/권지품 14 우리말 법화경/안락행품 15 우리말 법화경/종지용출품 16 우리말 법화경/여래수량품 17 우리말 법화경/분별공덕품 18 우리말 법화경/수희공덕품 19 우리말 법화경/법사공덕품 20 우리말 법화경/상불경보살품 21 우리말 법화경/여래신력품 22 우리말..

법화경 알기 2021.03.14

제법실상(諸法實相)- 혜성 스님 법문

-2005년3월5일 서울법회에서 혜성스님께서 법문하신 내용입니다.- 제법실상(諸法實相) 법화경을 제법실상(諸法實相) 개성불도(皆成佛道)라 함은 법화경을 수행하여 제법실상을 깨달으면 모두 불도를 이룰 수 있다는 것이다. 제법(諸法)이라 함은 세상에 있다는 온갖 모든 것을 두고 하는 말씀이며 실상(實相)이란 본래 성품의 진실한 모양을 두고 하는 말씀이다. 실상이란 모든 것의 본래 근본성품이니, 곧 법신불(法身佛)의 자리다. 법화경은 제법실상의 도리를 잘 드러내고 있다. 이십 팔품 품마다 제법실상의 도리를 담고 있으나 그 중에서도 방편품은 이를 극명(克明)하게 드러내고 있다. 제법실상의 진리를 깨달음으로써 법화경의 진리를 깨닫는 것이요 다른 둘 셋은 아니다. 석가세존께서는 이 법은 깨닫기 어려워 오직 부처님과..

법화경 알기 2021.02.28

중국불교 13경-⑳ 《법화경》 이야기

부처님의 40년 설법을 집약한 경전 《묘법연화경妙法蓮華經)》 또는 《법화경》(法華經)은 대승경전의 하나로, 예로부터 모든 경전의 왕으로 생각되었으며, 석가모니의 40년 설법을 집약한 경전으로, 법화사상을 담고 있는 천태종(天台宗)의 근본 경전이기도 하다. 초기 대승경전(大乘經典) 중에서 가장 중요한 경전이다. 산스크리트어 원본으로는 영국인 호지슨이 네팔에서 발견한 것을 비롯하여 여러 가지의 단편(斷片)이 존재한다. 프랑스어와 영어로 번역이 되어 있으며, 한편 한문, 티베트어, 위구르어, 서하어, 몽골어, 만주어 등으로 번역되어 넓은 지역의 여러 민족에게서 애호되었다. 현존하는 3종의 한문 번역 가운데 구마라집(鳩摩羅什)이 번역한 《묘법연화경(妙法蓮華經)》 7권(후에 8권이 되었음)이 가장 널리 유포되어 ..

법화경 알기 2020.12.06

묘법연화경 제1권 01.서품

묘법연화경 제1권 01.서품 묘법연화경 제 1권 제 1 서품 1장 이 경을 설하신 때와 장소와 법문 들은 대중 이렇게 나는 들었노라. 한때 부처님께서 마갈타국 왕사성 기사굴산 영산도량에 계시었다. 큰 비구대중 일만 이천 사람도 함께 하였으니, 이들은 다 아라한으로서 이미 모든 망상의 더러움이 다하여 다시 번뇌가 없으며, 깊은 진리를 얻어 모든 미혹된 습성을 버리고 마음의 자재함을 얻은 이들이었다. 그 아라한들의 이름은 부처님의 설법을 듣고 가장 먼저 깨친 아야교진여와 의복과 음식과 집에 대한 탐욕과 집착을 모두 떨쳐버린 두타 제일의 마하가섭과 승단을 공양함에 제일가는 우루빈나가섭과 마음의 모든 번뇌를 항복받은 가야가섭과 교화에 뛰어난 나제가섭과 지혜가 제일가는 사리불과 신통이 제일가는 대목건련과 부처님의..

법화경 알기 2020.11.22

법화경별찬 [ 法華經別讚 ]

법화경별찬 [ 法華經別讚 ] 정의 조선 초기의 승려인 설잠(雪岑)김시습(金時習)이 『묘법연화경(妙法蓮華經)』의 각 품(品)마다 찬(讚)·송(頌)을 붙인 책. 개설 1권 1책. 목판본. 『연경별찬(蓮經別讚)』, 『연경수품찬송』이라고도 한다. 형식은 송이지만, 육언일구(六言一句)·사언(四言)·칠언배구(七言配句)·팔언배구(八言配句)·오언배구(五言配句) 등의 문장으로 되어 있다. 서지적 사항 이 책은 설잠이 입적한 지 31년 후인 1524년(중종 19)에 경상북도 문경에 있는 지화산(地華山) 쌍룡사(雙龍寺)에서 개판되고, 다시 1546년(명종 1)에 황해도 서흥(瑞興)숭덕산(崇德山)귀진사(歸眞寺)에서 개판되었다. 동국대학교 도서관 등에 소장되어 있다. 내용 내용을 보면, 서(序)에 천태종이 선종에 속한다고 하고..

법화경 알기 2020.10.25

무량의경 (덕행품, 설법품, 십공덕품) - 일붕선교종

무량의경(無量義經) 1. 덕행품(德行品) 이와 같이 나는 들었느니라. 한때 부처님께서 왕사성 기사굴산에 계시어 큰 비구 대중(大衆) 1만2천인과 함께 계셨으며, 보살마하살(菩薩摩訶薩) 8만인과 천(天) 룡(龍) 야차(夜叉) 건달바(乾闥婆) 아수라(阿修羅) 가루라(迦樓羅) 긴나라(緊那羅) 마후라가(摩睺羅伽)와 모든 비구(比丘) 비구니(比丘尼) 우바새(優婆塞) 우파이(優婆夷)도 함께하였으니, 대전륜왕(大轉輪王) 소전륜왕(小轉輪王) 금륜(金輪) 은륜(銀輪)의 모든 륜왕(輪王)등과 국왕(國王) 왕자(王子) 국신(國臣) 국민(國民) 국사(國士) 녀인(女人) 대장자(大長者)와 그의 각각 권속 백천만의 수가 스스로 위요(圍繞)해서 부처님 앞에 나아가 머리와 얼굴로 발에 예배(禮拜)하고 백천번을 돌며 향을 피우고 꽃을..

법화경 알기 2020.07.19

관세음보살 보문품 (원문)

『관세음보살 보문품』 이시 무진의보살 즉종좌기 편단우견 합장향불 이작시언 세존 관세음보살 이하인연 명관세음 불고무진의보살 선남자 약유무량백천만억중생 수제고뇌 문시관세음보살 일심칭명 관세음보살 즉시 관기음성 개득해탈 약유지시 관세음보살명자 설입대화 화불능소 유시보살 위신력고 약위대수소표 칭기명호 즉득천처 약유백천만억중생 위구 금은 유리 자거 마노 산호 호박 진주등보 입어대해 가사흑풍 취기선방 표타나찰귀국 기중 약유내지일인 칭관세음보살명자 시제인등 개득해탈 나찰지난 이시인연 명관세음 약부유인 임당피해 칭관세음보살명자 피소집도장 심단단괴 이득해탈 약삼천대천국토 만중야차나찰 욕래뇌인 문기칭관세음보살명자 시제악귀 상불능이악안 시지 황부가해 설부유인 약유죄 약무죄 추계가쇄 검계기신 칭관세음보살 명자 개실단괴 즉득해..

법화경 알기 2019.10.06

법화경 사구게 -제법종본래 상자적멸상 불자행도이 내세득작불,

법화경 사구게 "방편품 - 소승을 설하는 이유" 에서 諸法從本來 常自寂滅相 佛子行道已 來世得作佛, 제법종본래 상자적멸상 불자행도이 내세득작불, 모든 법은 본래부터 언제나 저절로 적멸한 모습이니 불자들이 이러한 도를 행하면 오는 세상에 부처님이 되리라. 불자들이 이러한 도를 행하면은 이 이치를 깨달으면 그 말입니다. 바로 그 다음 이치를 파악 하면 오는 세상이라고 내세(來世)라고 했지 만은 내세라고 하는 것은 한 호흡의 다음 호흡이 바로 내세입니다. 그것을 초로 따지면 바로 이 순간보다 다음 초가 내세고 분(分)으로 따지면 바로 이 순간보다 다음 분이 내세고 시간으로 따지면 이 시간보다 다음 시간이 내세고 그렇죠. 현재 이 순간의 다음 순간을 내세라고 합니다. “오는 세상에 부처님이 되리라.” 이렇게 했는..

법화경 알기 2019.05.05

법화경에 나타난 空思想

법화경에 나타난 空思想 김선근* * 동국대학교 인도철학과 교수 Ⅰ. 머리말 Ⅱ. 법화경의 구성과 성립사 Ⅲ. 법화경에 나타난 空思想의 背景 Ⅳ. 法華經에 나타난 空思想 Ⅴ. 맺음말 요약문 공의 사상은 원시불교의 ‘제행무상’이나 ‘제법무아’라는 관념을 받아들인 사상이다. 空思想은『아함경』이나 아비다르마 불교에도 있지만 이 空思想을 더욱 심화시켜 존재하는 모든 것의 본성은 空이라 하고, 법이 空함과 법에 자성이 없음을 분명히 했던 것은『금강경』이다. 『법화경』에 나타난 空사상은『반야경』의 空사상을 기반으로 하여 제 14 「안락행품」, 제 16 「여래수량품」, 제 4 「신해품」, 제 5 「약초유품」 그리고 제 10 「법사품」에 나타나 있다. 제 10 「법사품」을 제외한 모든 品들은『반야경』의 空사상을 계승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