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승기신론 46

대승기신론 - 원문과 해석 2

대승기신론 【大乘起信論】 - 2 동봉스님 ㄴ)생멸인연 다음으로 생멸인연이란 이른바 중생들은 이 마음에 의해 의와 의식이 전변하기 때문이다. 이 뜻이 무엇인가? 아라야식에 의하여 무명이 있나니 불각이 일어나 보고 나타내고 경계를 취하여 망념을 일으켜 서로 이어지기 때문에 ‘의’라고 한다. 이 의는 다시 다섯 가지 이름이 있으니 무엇이 다섯인가? 첫째는 업식이니 무명의 힘으로 불각의 마음이 움직이기 때문이다. 둘째는 전식이니 움직여진 마음에 의해 능히 볼 수 있는 상이기 때문이다. 셋째는 현식이니 이른바 일체경계를 나타냄이 마치 밝은 거울이 물체의 형상을 나타내는 것과 같다. 현식도 그러하여 그 오진을 따라 대상이 이르면 곧 나타내되 앞뒤가 없다. 왜냐하면 언제든지 임의로 일어나 항상 현전하기 때문이다. 넷..

대승기신론 2022.06.19

대승기신론 -원문과 해석 1

대승기신론 【大乘起信論】 - 1 馬鳴菩薩造論 東峰比丘奉譯 Ⅰ. 종체를 나타냄 Ⅱ. 제명을 해석함 Ⅲ. 글의 뜻에 따라 나타냄 一. 귀경과 술의 (1)귀경게 귀명정례 하나이다 시방온누리 가장멋진 업을닦아 두루아시고 색에있어 걸림없고 자재하옵신 이세상을 구원하실 대비자시여 그와같은 신체상에 충만하옵신 아름다운 법과성과 진여바다여 한량없는 공덕들을 모두지니고 실다웁게 수행하는 선지식이여 (2)술의게 이세상에 존재하는 모든중생들 의심끊고 삿된집착 버리게한뒤 마하연의 바른믿음 밭을일구어 부처씨앗 끊이잖게 하려는까닭 二. 논의 체를 정립함 논한다. 법이 대승신근을 잘 일으키므로 마땅히 설해야 한다. 1. 인연분 설명함에 다섯 가지 구분이 있으니 무엇이 다섯 가지인가? 첫째는 인연분이요 둘째는 입의분이요 셋째는 해석..

대승기신론 2022.06.05

대승기신론(大乘起信論) 대강

난해한 대승기신론의 핵심을 초보자들이 이해하기 쉽게 설명한 글이 있어 올립니다. 대승기신론을 공부하면서 먼저 읽어보면 큰 도움이 될 것 같아 꼭 읽어보기를 권합니다. 대승기신론(大乘起信論) 대강 1. 대승기신론 소개 {대승기신론(大乘起信論)} 또는 {기신론(起信論)}이라고 하는 이 책은 {능가경}이 하고자 했던 일 즉 여래장과 아뢰야식을 결합하는 일을 아주 훌륭하게 완수해 냈다. {기신론}은 화엄종, 천태종, 선종, 정토종, 진언종 등에 아주 큰 영향을 주었다. 그래서 중국불교 이후의 모든 경론 가운데서 가장 주석서를 많이 가지고 있는 책이 바로 {기신론}이다. 현대의 연구를 빼놓고도 중국, 한국, 일본 등에서의 {기신론}에 대한 주석 해설서는 314종이라고 한다. 현재에도 불교를 공부하는 데 필독서로 ..

대승기신론 2022.05.08

[출판] 지안스님 <대승기신론 신강> - “대승기신론은 불교공부 위한 표준 교과서”

“대승기신론은 불교공부 위한 표준 교과서” 조계종 고시위원장 지안스님 펴내 대승불교 최고 논서로 불리는 이 조계종 고시위원장 지안스님의 손에서 새롭게 태어났다. 현대적인 문장으로 새롭게 번역한 이 바로 그것이다. 누가보더라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풀어썼다는 뜻에서 ‘신강’이라는 이름을 붙였다. 지안스님은 통도사 강원 강주, 조계종 역경위원장 등을 지내며 여일하게 교학연구와 후학양성에 전념해온 조계종을 대표하는 학승(學僧). 스님은 오늘(12월3일) 기자간담회에서 “‘나를 알고자 하는 공부가 불교공부’라는 점에서 은 공부의 지침을 제시해 주는 표준교과서라 할 수 있다”며 “대승불교 전반을 올바로 이해하고 제대로 공부하고 싶다면 꼭 일독을 권한다”고 밝혔다. 의 저자는 마명스님으로 알려져 있다. 산스크리트..

대승기신론 2022.02.06

체상용(體相用) 뜻

체상용(體相用)은 모든 사물이 가지고 있는 세 가지 측면이다. 체(體)는 모든 사물의 변하지 않는 본질이고, 상(相)은 인연따라 다양하게 나타나는 모양이며, 용(用)은 인연따라 쓰여지는 작용을 말한다. 유리병을 예로 들어 보자. 체는 유리병을 이루고 있는 유리이고, 상은 그 유리병의 생김새인 모양이고, 용은 유리병이 인연따라 다양하게 사용되는 용도이다. 불교 경전 에서 우리 마음을 ‘체(體)·상(相)·용(用)’ 셋으로 설명한다. 이들은 각각 마음의 본체, 마음의 양상, 마음의 활용을 지칭한다. 모든 사물을 있는 그대로 볼 수 있는 지혜가 반야바라밀이다. 반야바라밀은 불이(不二)의 세계이다. 체상용(體相用) 뜻 체상용(體相用)은 모든 사물이 가지고 있는 세 가지 측면이다. 체(體)는 모든 사물의 변하지 않..

대승기신론 2021.10.31

진여(眞如)

모든 존재의 진실한 모습이다. 삼라만상의 참다운 모습이요 그 실상이다. 순진무구한 모습 바로 그것이다. 그대 마음(一心)의 본래적 모습이다. 언제나 한결 같은 모습, 천연(天然) 그대로의 모습이다. 일체 현상, 일체 중생의 근원이고 본질이다. 진여/ 그것은 무색, 무취하며 영원히 변하지 않는 불변, 무형의 존재다. 부증, 불감(不感), 불괴(不壞)의 절대적 진리다. 진여(眞如) : ‘진여(眞如)’란 ‘참으로 있는 그대로’ 또는 ‘현재 있는 모습 그대로가 진리’라는 뜻으로, 산스크리트어 ‘타타타(tatha-ta-)’의 뜻 번역이다. 즉 모든 존재의 ‘진실한 모습’ ‘참 모습’을 가리킨다. 모든 존재의 진실한 모습, 참다운 모습은 지각할 수는 있어도 무어라 표현할 수는 없다. 어떤 언어로 규정할 수는 없다...

대승기신론 2021.08.29

침묵 속에서 묵묵히 듣고 있는 그것 - 정화스님

침묵 속에서 묵묵히 듣고 있는 그것 ..... 진여의 흐름은 잠시도 머묾 없는 무상 가운데 인연의 총상을 다 드러내기 때문에 기억된 대로 읽혀질 수 없습니다. 흐름을 이해하고 다음을 준비하는 기억은 생명이 살아가는 데는 너무나 중요한 요소였기에 대물림되었겠지만, 기억만으로 현재를 읽는 순간 현재의 무상과 어긋나므로 기억이 망념이 됩니다. 무상한 연기를 새롭게 읽어내지 못하게 하는 기억들의 집합인 업식과 그 활동이 망심이 되는 까닭입니다. 기억은 언어로 된 분별을 집착하는 것과 같습니다. 하나의 단어는 다른 것과 상관없이 그 자체가 하나의 이미지나 형상과 상응한다고 여기면서, 그 이미지와 형상을 붙잡고 있는 것이지요. 그렇기 때문에 망념의 기억은 실재라는 이미지를 갖는 기억입니다. 이러한 기억들의 모임이 ..

대승기신론 2021.07.04

0. 대승기신론의 구성 및 전체도표

서분 : 귀경송 정종분 인연분 : 이 논을 짓게된 여덟가지 인연 입의분 : 대의를 세움 해석분 : 대승은 일심 이문 삼대이다를 설명함 수행신심분 : 해석분에서 설한후 실제로 어떻게 닦아 가야하는 지 설함 권수이익분 : 중생은 불법을 알지 못하면 스스로 미해져서 끝없이 악업을 짓게 됨. 선연과 악연과 관련없이 본래 공함을 깨닫고 생사를 벗어날 수 있음. 유통분 참고자료 : 대승기신론 한문원전 ARAMA - 체계적인 불교 공부 - 0. 대승기신론의 구성 및 전체도표 서분 : 귀경송 정종분 인연분 : 이 논을 짓게된 여덟가지 인연 입의분 : 대의를 세움 해석분 : 대승은 일심 이문 삼대이다를 설명함 수행신심분 : 해석분에서 설한후 실제로 어떻게 닦아 가야하는 www.arama.kr

대승기신론 2021.03.14

大 乘 起 信 論

大 乘 起 信 論 馬鳴菩薩 造 梁真諦三藏 譯 一. 귀경(歸敬)과 술의(述意) 二. 논(論)의 체(體)를 정립함 1. 인연분(因緣分) 2. 입의분(立義分) 3. 해석분(解釋分) (1) 정의(正義)를 현시(顯示)함 ① 먼저 뜻을 풀이함 A. 법장문(法章門)을 해석함 a. 진여문(眞如門) b. 생멸문(生滅門) 가. 널리 풀이함 ㄱ) 심생멸(心生滅) * 각의(覺義) * 불각의(不覺義) ㄴ) 생멸인연(生滅因緣) ㄷ) 생멸상(生滅相) 나. 훈습론(熏習論) ㄱ) 염법(染法) 훈습 ㄴ) 정법(淨法) 훈습 B. 의장문(義章門)을 해석함 a. 체상(體相) 이대(二大) b. 용대(用大) ② 진여문(眞如門)에 들어감 (2) 사집(邪執)을 대치함 ① 인아견(人我見) ② 법아견(法我見) (3) 도(道)에 발심하여 나아가는 모양을..

대승기신론 2020.05.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