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무비스님, 임제록 강설-감변(勘辨) 36. 37. 38. 39 무비스님, 임제록 강설-감변(勘辨) 36. 37. 38. 39 36 비구니를 점검하다 師問一尼(사문일니)호되 善來(선래)아 惡來(악래)아 尼便喝(니편할)하니 師拈棒云(사염방운), 更道更道(갱도갱도)하라 尼又喝(니우할)이어늘 師便打(사편타)하다 임제스님이 어느 비구니에게 물었다. “잘 왔는가? 잘못 .. 임제록 2018.02.18
[스크랩] 무비스님, 임제록 강설-감변(勘辨) 31. 32. 33. 34. 35 무비스님, 임제록 강설-감변(勘辨) 31. 32. 33. 34. 35 31 도반인 대각스님이 방문하다 大覺到參(대각도참)에 師擧起拂子(사거기불자)하니 大覺敷坐具(대각부좌구)라 師擲下拂子(사척하불자)한대 大覺收坐具(대각수좌구)하고 入僧堂(입승당)하다 衆僧云(중승운), 這僧(자승)은 莫是和尙親故(막.. 임제록 2018.02.18
[스크랩] 무비스님, 임제록 강설-감변(勘辨) 27. 28. 29. 30 무비스님, 임제록 강설-감변(勘辨) 27. 28. 29. 30 27 왕상시를 점검하다 王常侍(왕상시)가 一日訪師(일일방사)하야 同師於僧堂前看(동사어승당전간)할새 乃問這一堂僧(내문자일당승)이 還看經?(환간경마)아 師云(사운), 不看經(불간경)이니라 侍云(시운), 還學禪?(환학선마)아 師云(사운), 不.. 임제록 2018.02.18
[스크랩] 무비스님, 임제록 강설-감변(勘辨) 23. 24. 25-1. 25-2. 26 무비스님, 임제록 강설-감변(勘辨) 23. 24. 25-1. 25-2. 26 23 한낱 나무토막이로다 師(사) 因入軍營赴齋(인입군영부재)할새 門首(문수)에 見員僚(견원요)하고 師指露柱問(사지노주문)호대 是凡是聖(시범시성)가 員僚無語(원요무어)어늘 師打露柱云(사타노주운), 直饒道得(직요요득)이라도 也祇.. 임제록 2018.02.18
[스크랩] 무비스님, 임제록 강설-감변(勘辨) 19. 20. 21. 22-1. 22-2 무비스님, 임제록 강설-감변(勘辨) 19. 20. 21. 22-1. 22-2 19 범부인가 성인인가 師一日(사일일)에 與河陽(여하양)과 木塔長老(목탑장노)로 同在僧堂地爐內坐(동재승당지노내좌)하야 因說普化每日(인설보화매일)에 在街市(재가시)하야 ?風?顚(경풍경전)하니 知他是凡是聖(지타시범시성)가 言猶.. 임제록 2018.02.18
[스크랩] 무비스님, 임제록 강설-감변(勘辨) 17. 18-1. 18-2 무비스님, 임제록 강설-감변(勘辨) 17. 18-1. 18-2 17 나를 위해 그만 두시오 師見普化(사견보화)하고 乃云(내운), 我在南方(아재남방)하야 馳書到?山時(치서도위산시)에 知?先在此住(지이선재차주)하야 待我來(대아래)하니라 乃我來(내아래)하야 得汝佐贊(득여좌찬)이라 我今(아금)에 欲建立.. 임제록 2018.02.04
[스크랩] 무비스님, 임제록 강설-감변(勘辨) 15-1. 15-2. 16 무비스님, 임제록 강설-감변(勘辨) 15-1. 15-2. 16 감변(勘辨) (강의) 감정하고 점검하여 분별해 내다. 헤아리고 조사하다. 라는 뜻이다. 공부하는 사람들의 수행의 깊고 얕음과 깨달음의 진실과 거짓을 분별하기 위한 문답들이 실여있다. 흔히 말하는 선문답이다. 법문의 격은 상당법어 이상.. 임제록 2018.02.04
[스크랩] 무비스님, 임제록 강설-시중(示衆) 14-43. 14-44 무비스님, 임제록 강설-시중(示衆) 14-43. 14-44 14-43 철퇴를 맞을 날이 있으리라 大德(대덕)아 莫因循過日(막인순과일)하라 山僧往日(산승왕일) 未有見處時(미유견처시)에 黑漫漫地(흑만만지)라 光陰(광음)을 不可空過(불가공과)니 腹熱心忙(복열심망)하야 奔波訪道(분파방도)하야 後還得力(.. 임제록 2018.02.04
[스크랩] 무비스님, 임제록 강설-시중(示衆) 14-40. 14-41. 14-42 무비스님, 임제록 강설-시중(示衆) 14-40. 14-41. 14-42 14-40 산승의 말도 취하지 말라 大德(대덕)아 若如是達得(약여시달득)하면 免被他凡聖名?(면피타범성명애)니라 ?一念心(이일념심)이 祇向空拳指上生實解(지향공권지상생실해)하며 根境法中虛捏怪(근경법중허날괴)하야 自輕而退屈言(자경.. 임제록 2018.02.04
[스크랩] 무비스님, 임제록 강설-시중(示衆) 14-37. 14-38. 14-39 무비스님, 임제록 강설-시중(示衆) 14-37. 14-38. 14-39 14-37 대통지승불(大通智勝佛) 問(문), 大通智勝佛(대통지승불)이 十劫坐道場(십겁좌도량)호되 佛法不現前(불법불현전)이라 不得成佛道(부득성불도)라하니 未審此意如何(미심차의여하)오 乞師指示(걸사지시)하소서 師云(사운), 大通者(대.. 임제록 2018.02.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