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기불교 169

[일중 스님의 초기불교명상] 3. 인간 붓다에 대한 궁금증

붓다가 깨달음을 얻었던 수행법 붓다의 수행과정 상세하지만 수행법은 잘 알려지지 않아 ‘멸희론소’등 경전 주석서에 붓다의 수행은 호흡명상 진술 “정각을 성취하기 전 사문 고따마가 보리수 아래에서 수행을 할 때, 그때 수행했었던 명상법이 정확하게 무엇인지 아시나요?” 붓다의 생애에서 6년 고행을 했다는 사실은 너무나 잘 알려졌지만, 정작 어떤 수행법으로 선정과 깨달음을 얻었는지에 대해서는 잘 알려져 있지 않다. 붓다는 어떤 수행법을 하셨을까? 그 구체적인 명상법이 무엇이었지? 그 방법을 알아야 우리도 수행하여 깨달음을 기약할 것이 아닌가? 운문사 강원시절부터 초기불교에 관심이 있었던 것은 인간으로서의 붓다를 알고 싶어서였다. 붓다가 인간이어야 인간인 나 자신도 괴로움으로부터의 완전한 해탈, 깨달음에 대한 희..

초기불전 전문대학원(안) 설립을 위한 세미나 (발제문)

초기불전 전문대학원(안) 설립을 위한 세미나 ◇ 목차 ◇ 1. 들아가는 말 2. 초기불전이란? 3. 초기불전 전문대학원 개설 목적 4. 수업 연한 5. 학제 6. 수업 방법 7. 개설과목 및 학점 8. 수업 시간표 9. 교과목에 따른 교육 내용 10. 부설 범어불전 연구소(가) 설립 일시: 2010년 6월 14일(월) 오후 2시 장소: 한국불교역사문화기념관 2층 회의실 1. 들어가는 말 부처님의 금구성언을 담고 있는 초기불교는 불교의 출발점이요 불교의 뿌리이다. 모든 나무에 뿌리가 있듯이 불교 2600년의 전개에도 이러한 뿌리가 있다. 뿌리를 거부하고 나무가 살아남을 수 없듯이 뿌리를 모르는 불교는 역사를 아는 이 시대의 외면을 받게 될 것이다. 그러므로 초기불전의 심도깊은 이해는 이 시대 불교가 가장 ..

Re:초기불교 경전 목록(빠알리 삼장 목록)

불교 공부에 마음을 내신 이드 법우님께 찬탄 올립니다. 시작이 반이라고 하지요. 대단한 마음을 내셨습니다. 먼저 이 글이 법우님을 더 혼란스럽게 할 것이 분명하여 주저하게 됩니다. 간단명료하게 정리된 목록이나 자료는 저 역시 제시해드리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그럼에도 몇 가지 내용과 자료를 덧붙이기로 하였습니다. 복잡하게 느껴지시면 중간에라도 읽기를 중단하셔도 좋습니다. 부담 없이 읽어주십시오. 불교 경전부터 읽고 싶은데 불교 경전은 어떤 것이 있고, 그중 어떤 경전을 먼저 읽어야 할지 초심자로서는 알기 어렵지요. 우선 기독교/천주교에는 성경, 이슬람교에는 코란이라는 공인된 경전이 있지만 불교라는 이름으로는 그런 종류의 경전을 찾기 어렵습니다. (굳이 불교에 그런 경전이 있다면 아마도 니까야와 아함일 것입..

[무상] 자신과 현실을 변화 시키라는 변혁의 메시지 / 임승택 교수

[임승택의 초기불교순례] 26. 무상(無常)의 가르침 “늘 변한다는”는 변혁의 메시지 무상(無常)이란 무엇을 의미하는가. “항상하지 않는다”는 의미로, 모든 것이 변화의 여정에 놓여 있다는 사실을 나타낸다. 우리는 나날이 변해가며 또한 새롭게 태어나고 죽어간다. 어제의 ‘나’와 오늘의 ‘나’는 다르다. 현재의 ‘나’가 10년 후 혹은 100년 후까지 지속되지는 않는다. 불교에서는 바로 이 변화한다는 사실만큼은 고정불변의 진리로 여긴다. 따라서 진리의 인장 즉 법인(法印)이라는 표현으로써 이것을 분명히 한다. 무상의 진리는 삼법인(三法印)의 가르침 가운데 최초의 것에 속한다. 초기불교는 이와 같이 단순하면서도 자명한 진리에 근거한다. 무상의 진리는 결코 난해한 것이 아니다. 사실 변화한다는 것 자체를 이해..

Re : 초기불교 교학 공부 순서에 대한 생각(수정 2013.04.01)

삼보께 귀의하옵니다. _()_ _()_ _()_ 초기불교를 함께 공부하게 되어 반갑습니다. 제가 생각하는 초기불전 공부순서입니다. 1. 해탈의 방법에 대한 사유 1) 삼계의 범부들이 가지고 있는 62가지 견해와 육사외도의 견해들 ☞ 권장도서 -「범망 경」(D1)과「사문과 경」(D2) 우선 세상에 존재하는 외도들의 견해, 가치관, 종교관, 도덕관 등을 전체적으로 살펴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그래서 그들이 어떻게 취착없이 번뇌로부터 벗어나 해탈하고, 궁극적 행복을 찾는지를 살펴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특히 부처님 당시 육사외도의 사상을 살펴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그들과 함께 진지하게 사유하고 고뇌해봄으로써 나중에 부처님께서 발견하신 진리의 진가를 알 수 있습니다. 부처님의 두 고결한 상수제자인 사리뿟따 존자와 ..

초기불교의 연기와 무아

『아함경의 이해』 초기불교의 緣起와 無我 목 차 1. 머리말 2. 제법의 법칙, 緣起 1) 연기법의 발견 2) 연기로 이루어진 제법의 실상 3. 연기로 성립된 존재, 無我 1) 다섯가지 작용의 집합체, 五蘊 2) 연기를 모르는 존재의 괴로움, 十二緣起 3) 인간의 의식세계, 六境 六根 六識의 결합 4) 네가지 특성, 四大 5) 연기와 무아의 관계 ➀ 꽃향기 비유 ➁ 강물의 비유 ➂ 수레의 비유 6) 무아에 대한 몇 가지 의문 ➀ 무아라는 슬픔 ➁ 윤회의 주체 ➂ 존재의 사후세계 ➃ 형이상학적 질문 4. 연기와 무아의 사상적 의의 1) 기존 절대신 체계에 대한 실증적 반격 2) 인과법을 통한 도덕률 제시 3) 자비 평등사상 고취 4) 개인적 내적 성숙 유도 5) 실천수행체계 구축을 통한 존재의 지고한 완성..

기획논단 - 중도(中道)란 무엇인가 (불교신문)

기획논단3 - 중도(中道)란 무엇인가 각묵스님/초기불전연구원 지도법사 ‘막연한 중간’이 아닌 ‘바른 깨달음의 길’ 초기 경전이 제시하는 중도는 ‘팔정도’ 공허한 철학적 사유로 이해해서는 곤란 치우침 없이 총체적으로 실천수행해야 부처님 가르침의 핵심은 연기(緣起)다. 연기는 세계가 개별적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주변과의 관계 속에서 존재하는 것으로 인식하는 세계관이기도 하다. 무릇 수행자는 연기적 가르침을 실천함으로써 해탈을 얻는다. 연기적 가르침의 실천은 곧 중도로 연결되는데, 팔정도로 대변되는 중도는 ‘원융과 조화’를 실현하는 첫 단추이기도 하다. 중도(中道)의 가르침은 부처님 최초의 설법이다. 〈초전법륜경〉에서 부처님께서는 다섯 비구에게 이렇게 천명하신다. “비구들이여, 출가자는 이들 두 가지 극단..

팔정도 聖八支道

팔정도 聖八支道 The Noble Eightfold Path Way to the End of Suffering Bhikkhu Bodhi 비구 보디 지음|전병재 옮김 The Wheel Publication No. 308-311 1984 Second edition(revised) 1994 BUDDHIST PUBLICATION SOCIETY Kandy·Sri Lanka * 이 책에 나오는 경(經)의 출전은 영국빠알리성전협회(PTS)에서 간행한 로마자 본 빠알리경임. * 로마자 빠알리어는 이탤릭체로 표기함. * 각주는 원주(原註)이며, 역자주는 [역주]로 표기함. * 이 역서는 개정되어 나온 단행본(1994)을 저본으로 했기 때문에 Wheel series (No. 308-311 1984)로 나온 텍스트와는 상이..

초기불교[ Early Buddhism ]

학문명백과 : 인문학 초기불교 [ Early Buddhism ] 외국어 표기 Früher Buddhismus(독일어), le Buddhisme Primitif(프랑스어), 初期佛敎(한자) 목차 1. 개념 및 정의 2. 관련 언어와 연구자료 1) 관련 언어 2) 연구자료 3. 초기불교의 경전 4. 주요 이론 1) 사성제 2) 팔정도 3) 연기 4) 중도 5) 업과 윤회 6) 해탈 7) 삼학 8) 삼법인 9) 나와 세계의 무상·무아·고·공 10) 수행 5. 접근방법과 주요 연구영역 6. 주요 용어 및 관련 직업군 1) 주요 용어 2) 관련 직업군 1. 개념 및 정의 초기불교(初期佛敎, early buddhism)는 불교학(佛敎學, buddhism)의 한 분야로서 초기의 인도불교를 말한다. 초기불교는 붓다의 ..

초기 불교 경전에도 동성애·자살문제 등 언급

초기 불교 경전에도 동성애·자살문제 등 언급 기사입력 2016-08-11 03:00 초기불교 연구의 선구자 한국빠알리성전협회 회장 전재성(63)박사 한국빠알리성전협회 회장 전재성(63) 박사는 초기 불교의 경전을 우리말로 번역하고 있다. 불교전래 1600년이 넘은 한국에 초기경전이 우리나라 글로 된 것이 없다는 소식에 큰 충격을 받고 인생을 초기경전 번역에 투신했다. 초기경전을 통해 우리가 알고 있는 상식과 다른 점 그리고 불교의 변천 과정을 살펴 바른 불교 정신을 알아본다. 팔리어(빠알리어)는 현재는 사용하지 않는 언어지만 스리랑카, 미얀마, 캄보디아 등에서 부처님의 설법을 기록했던 언어다. - 불교와 인연을 맺게 된 동기는 부모님이 북한에서 1.4후퇴 때 거제도로 내려와 열악한 환경에서 자랐다. 4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