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12. 직지인심(直旨人心) 10 십이연기설에 관해서는 편의상 조계종 포교원에서 편찬한 <불교교리>(조계종출판사, 1998)에 제시된 설명(183~184쪽)을 사용하기로 하자. 여기에서는 무명을 “존재의 자연스런 흐름에 대한 역전(逆轉)의 상태”라고 정의하고 있다. 말이 좀 까다로운데, ‘존재의 진상을 모르고 이에 거.. 선의 세계 2018.07.01
[스크랩] 11. 직지인심(直旨人心) 9 지난번에 독자 여러분께 생각해보실 문제를 하나 드렸었는데, 숙제를 하셨는지 모르겠다. 싯달타는 생사, 즉 나고 죽는 문제를 해결하고자 출가했고 그것을 해결함으로써 부처님이 되었다는데, 그 문제를 과연 어떻게 풀었다는 것인가? 자아라는 관념과 그것이 일으키는 온갖 감정 및 판.. 선의 세계 2018.07.01
[스크랩] 10. 직지인심(直旨人心) 8 공도리에 입각해서 보면 무명번뇌라는 것이 본래 없다고 하였다. 우리가 그것이 있다고 여기기 때문에 있을 뿐이다. 그리고 그렇게 여기는 사고방식, 그것이 바로 무명이요 온갖 번뇌의 발단이다. 그런 사고방식은 아무튼 있다는 얘기 아니냐, 그렇다면 결국 무명번뇌가 있다는 데로 논.. 선의 세계 2018.06.24
[스크랩] 9. 직지인심(直旨人心) 7 여래장 사상에서는 모든 중생이 부처로서의 성품을 가지고 있다 하더라도 그것이 어리석음으로 가려져 숨어있는 것으로 본다는 이야기를 했다. 그렇다면 부처와 중생은 역시 엄연히 다르다. 중생에게는 어리석음이 있고, 그것을 없애야 부처로서의 성품이 드러나 비로소 성불한다는 구.. 선의 세계 2018.06.24
[스크랩] 8. 직지인심(直旨人心) 6 모든 중생이 이미 다 부처님이라는 것이 선종의 대전제라는 이야기를 했다. 중생과 부처는 원래 반대말인데 어찌하여 중생과 부처가 같다는 걸까? 중생이 곧 부처요 윤회가 곧 열반이라는 이야기는 대승불교에서 오래 전부터 해왔다. 모든 것의 본래 정체는 다 텅 비었다고 하는 공도리(.. 선의 세계 2018.06.24
[스크랩] 7. 직지인심(直旨人心) 5 경전 공부를 하는 것이 어째서 ‘동쪽으로 간다면서 서쪽으로 가는 짓’이라는 걸까? 그것이 어찌하여 하늘과 땅 사이만큼이나 어긋나는 짓일까? 경전 공부에 대해 선종이 그런 극단적인 비판을 퍼부은 데에는 새로운 종파로서 권세 있는 기존 종단들을 공격함으로써 자신을 드러내려는.. 선의 세계 2018.06.24
[스크랩] 6. 직지인심(直旨人心) 4 경전 공부를 하면 깨달아 성불하는 데 방해가 된다? 경전이라는 것이, 곧이곧대로 믿자면, 부처님의 입에서 직접 나온 말씀인데 부처님이 중생에게 일러준 말씀이 깨달음에 방해가 된다고 한다면 참으로 의아하게 생각될 것이다. 나 자신과 세상의 진상을 깨달아 해탈하라는 것이 부처님.. 선의 세계 2018.06.24
[스크랩] 5. 직지인심(直旨人心) 3 갈수록 불교 경전이 많이 소개되어 번역되고 연구되면서, 불교 사상에 대한 중국 사람들의 이해도 깊고 넓어졌다. 그런데 그럴수록 혼란도 더해갔으니, 많은 경전의 다양한 이야기를 접하게 되니 “불교의 가르침은 결국 이런 것이다”라고 딱 부러지게 정리해서 단언하기가 갈수록 어.. 선의 세계 2018.06.24
[스크랩] 4. 직지인심(直旨人心) 2 선종에서는 왜 경전 공부를 ‘한눈팔기’라고 비난할까? 그 사정에 대한 이야기의 일환으로, 선종이 일어나기 전 중국 불교계에서 오랫동안 경전 공부에 주력하였던 양상을 더듬어보자. 부처님의 가르침을 배우려면 경전 공부를 열심히 해야 한다는 것이 상식이다. 그래서 자연히 중국.. 선의 세계 2018.06.10
[스크랩] 3. 직지인심(直旨人心) 1 지난번 ‘직지인심(直旨人心)’이라는 선종의 종지에 대해 무슨 뜻일지 생각해보시라고 했었다. 필자는 당연히 그 숙제를 하였다. 다음은 필자가 생각해본 내용이다. 독자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셨는지, 맞대놓고 가늠해보시기 바란다. ‘직지’란 곧바로, 직선으로 가리킨다는 말이겠.. 선의 세계 2018.06.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