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대지도론(大智度論) 111. ★ 나라고 여기는 것은 색수상행식 오온이다. [문] 어찌하여 나를 얻을 수 없는가? [답] 앞에서 ‘어느 때 내가 들었다’를 풀이하면서 이미 설명했거니와 이제 다시 설명하리라. 부처님께서는 다음과 같이 6식(識)을 설명하셨다. [478 / 805] 쪽 “눈의 의식과 눈의 의식에 서로 응하는 법은 함께 색을 반연하고, 집이나 성곽 등 갖가지 이.. 대지도론 2019.01.06
[스크랩] 대지도론(大智度論) 110. ★ 좋고 나쁨은 내 마음에 있지, 밖에 원인이 있는 것이 아니다. [문] 일체의 존재[物]가 반드시 인연이 화합하기 때문에 존재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미진(微塵)은 지극히 미세하므로 나눌 수 없고, 나눌 수 없으므로 화합할 것이 없다. 방석, 즉 비단은 거칠기 때문에 쪼갤 수 있지만 미진은 나눌 수조차 없거늘 어떻게 쪼개겠는가? [답] 지극히 미세해.. 대지도론 2019.01.06
[스크랩] 대지도론(大智度論) 109. 생각의 인연 [문] 단이란 재물을 버리는 일이라 하거늘 어찌하여 말하기를 “버릴 바 없는 법을 구족한다” 말하는가? [답] 단에는 두 종류가 있으니, 하나는 세간을 벗어난 것이요, 또 하나는 세간을 벗어나지 못한 것이다. 지금은 세간을 벗어난 보시의 특징 없음[無相]을 말하고 있다. 특징이 없으므.. 대지도론 2019.01.06
[스크랩] 대지도론(大智度論) 108. 재물보시, 공경보시, 법보시 [문] 어떤 것을 일컬어 ‘업에 매여 나는 몸으로 단바라밀을 원만히 한다’고 하는가? [답] 아직 법신을 얻지 못하고, 번뇌가 아직 다하지 않았지만 능히 온갖 보물과 머리․눈․골수․뇌․나라․재산․처자 등 안팎의 모든 것을 베풀고도 마음에 흔들림이 없는 것이다. 예컨대 수제나(須.. 대지도론 2019.01.06
[스크랩] 대지도론(大智度論) 107. ★ 보시한 물건은 끝내 공하여 열반의 모습과 같다. [문] 아라한과 벽지불도 능히 피안에 이르는데 어찌 바라밀이라 하지 않는가? [답] 아라한과 벽지불이 피안에 이르는 것은 부처님이 피안에 이르는 것과 이름은 같으나, 실제는 다르다. 저들은 생사로써 이쪽 언덕을 삼고 열반으로써 피안을 삼거니와 보시바라밀의 피안으로 건너가지는 .. 대지도론 2019.01.06
[스크랩] 대지도론(大智度論) 106. ★ 주는 자/받는 자/재물이 있으면, 보시바라밀의 장애가 된다. 불설독사유경(佛說毒蛇喩經)』2)에 이런 말씀이 있다. “어떤 사람이 왕에게 죄를 짓자 왕은 그에게 광주리를 하나 맡기면서 잘 간직하라 분부했다. 그 광주리 안에는 뱀 네 마리가 있었는데 왕이 죄인에게 잘 보살펴 기르라 하니, 이 죄인은 생각했다. ‘네 마리의 뱀은 가까이하기가 어.. 대지도론 2019.01.06
[스크랩] 대지도론(大智度論) 105. 눈알을 뽑아주고나서 보살행을 포기한 사리불 20. 초품 중 단바라밀의 법시(法施)를 풀이함② [문] 어떤 것을 단바라밀1)의 원만함이라 하는가? [답] 단(檀)의 뜻은 앞에서 말한 바와 같거니와 바라밀(波羅蜜)이란 보시의 강을 건너 피안에 이름을 말한다. [문] 어떤 것을 피안에 이르지 못했다 하는가? [답] 비유하건대 강을 건너다가 도.. 대지도론 2018.12.30
[스크랩] 대지도론(大智度論) 104. 무엇이 참된 법보시인가? 재물보시와 법보시의 차이점 20. 초품 중 단바라밀의 법시(法施)를 풀이함 ① [문] 무엇을 법보시라 하는가? [답] 어떤 사람이 말하기를 “항상 좋은 말로써 남을 이롭게 하면 이를 법보시라 한다” 하고, 또한 어떤 사람은 말하기를 “부처님들의 말씀을 묘하고 착한 가르침으로써 남에게 연설해 주면 이를 법보시라 .. 대지도론 2018.12.30
[스크랩] 대지도론(大智度論) 103. 불도를 구하기 위해 보시하라. 아바타나경(阿婆陀那經)37) 가운데 다음과 같은 말씀이 있다. “옛날 염부제에 바살바(婆薩婆)라는 왕이 있었다. 이때 위라마(韋羅摩)38)라는 바라문 보살이 있었는데, 그는 나라의 왕사(王師)로서 왕에게 전륜성왕이 되는 법을 가르쳤다. 위라마는 재물이 한량없고 값진 보물을 갖추고 있.. 대지도론 2018.12.30
[스크랩] 대지도론(大智度論) 102. 일체중생을 위해, 깨닫기 위해 보시하라. 또한 일곱 가지 보배, 즉 사람․수레․금․은․등촉(燈燭)․집․향ㆍ꽃으로 보시하므로 전륜성왕이 되어 일곱 가지 보배가 갖추어진다. 또한 보시하되 때를 맞추므로 과보도 더욱 많아진다. 부처님께서 말씀하시기를 “멀리 가는 사람과 멀리서 온 사람과 병들은 사람과 병간호 하는 사.. 대지도론 2018.12.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