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碧巖錄] 제82칙 大龍堅固法身 - 대룡화상의 견고한 법신 <벽암록(碧巖錄)> 제82칙은 대용화상이 법신에 대한 견해를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 있다. 어떤 스님이 대룡(大龍)화상에게 질문했다. “색신(色身)은 부서지고 파괴되는데, 견고한 법신은 어떠한 것입니까?” 대룡화상이 말했다. “산에 핀 꽃은 비단결 같고, 시냇물은 쪽빛처럼 맑다... 벽암록 해설 2018.10.07
[스크랩] [碧巖錄] 제81칙 藥山麈中麈 - 역산화상과 큰 사슴 사냥 <벽암록(碧巖錄)> 제81칙은 약산유엄선사와 큰 사슴을 화살로 잡는 선문답을 다음과 같이 싣고 있다. 어떤 스님이 약산화상에게 질문했다. “넓게 펼쳐진 초원에 큰 사슴과 많은 사슴들이 무리를 이루고 있는데, 어떻게 하면 큰 사슴 가운데 큰 사슴을 화살로 쏘아 맞출 수가 있습니까.. 벽암록 해설 2018.10.07
[스크랩] [碧巖錄] 제80칙 趙州初生孩子 - 조주화상과 어린애의 육식(六識) <벽암록(碧巖錄)> 제80칙은 어떤 스님이 조주화상에게 갓 태어난 어린애도 육식을 갖추고 있는가에 대한 의문을 가지고 질문하는 대화를 다음과 같이 싣고 있다. 어떤 스님이 조주화상에게 질문했다. “갓 태어난 어린애도 안 이 비 설 신 의, 육식을 갖추고 있습니까?” 조주화상이 .. 벽암록 해설 2018.09.30
[스크랩] [碧巖錄] 제79칙 投子一切佛聲 - 투자화상과 부처의 소리 <벽암록(碧巖錄)> 제79칙은 투자산에서 활약한 대동(大同)화상의 선문답을 다음과 같이 전하고 있다. 어떤 스님이 투자화상에게 질문했다. “일체의 모든 소리가 부처의 소리라고 하는데, 정말 그렇습니까?” 투자화상이 말했다. “그렇지.” 그 스님이 말했다. “화상께서는 주전자.. 벽암록 해설 2018.09.30
[스크랩] [碧巖錄] 제78칙 開士悟水因 - 보살(菩薩)이 목욕하며 깨닫다 <벽암록(碧巖錄)〉제78칙은 <수능엄경>에 나오는 고사를 다음과 같이 제시하여 참구하게 하고 있다. 옛날에 16명의 보살이 있었는데, 스님들을 목욕시킬 때 평상시처럼 욕실에 들어갔다가 문득 물의 인연(본질)을 깨달았다. 여러 선덕들이여! 저네들이 미묘한 감촉 또렷이 빛나며, .. 벽암록 해설 2018.09.30
[스크랩] [碧巖錄] 제77칙 雲門餬餠 - 운문화상의 호떡[餬餠] <벽암록> 제77칙은 운문화상이 부처를 초월하고 조사를 초월하는 말을 질문하자 호떡이라고 다음과 같이 대답하고 있다. 어떤 스님이 운문화상에게 질문했다. “어떤 것이 부처를 초월하고 조사를 초월하는 말씀입니까?” 운문화상이 대답했다. “호떡이다.” 擧. 僧問雲門, 如何是.. 벽암록 해설 2018.09.30
[스크랩] [碧巖錄] 제76칙 丹霞喫飯也未 - 단하화상이 어디서 왔는가 묻다 <벽암록> 제76칙은 단하천연화상이 찾아온 한 스님에게 ‘어디서 왔는가’라는 질문에 대한 선문답을 다음과 같이 싣고 있다. 단하화상이 어떤 스님에게 물었다. “어디서 왔는가?” 스님은 대답했다. “산 밑에서 왔습니다.” 단화화상이 말했다. “밥은 먹었는가?” 스님이 대답했.. 벽암록 해설 2018.09.30
[스크랩] [碧巖錄] 제75칙 烏臼屈棒 - 오구화상이 선법(禪法)을 묻다 <벽암록> 제75칙은 오구화상이 정주(烏臼)화상의 문하에서 수행한 스님에게 정주(定州)화상의 불법에 대한 질문을 하면서 나눈 선문답을 다음과 같이 전한다. 어떤 스님이 정주화상의 문하에서 수행한 뒤에 오구화상을 참문하자, 오구화상이 물었다. “정주화상의 선법은 이곳의 선.. 벽암록 해설 2018.09.23
[스크랩] [碧巖錄] 제74칙 金牛飯桶 - 금우화상의 밥통 <벽암록> 제74칙은 금우화상이 밥통을 치며 춤추고 웃는 기행을 다음과 같이 전한다. 금우화상은 언제나 점심 공양시간이 되면 몸소 밥통을 들고 승당 앞에서 춤을 추면서 껄껄 웃으며 말했다. “보살들이여! 공양하러 오시오.” 설두스님이 말했다. “비록 이와 같이 하였지만 금우.. 벽암록 해설 2018.09.23
[스크랩] [碧巖錄] 제73칙 馬祖四句百非 - 마조문하의 서당(西堂)과 백장(百丈) <벽암록(碧巖錄)>제73칙은 마조도일화상이 문하의 수제자인 서당과 백장의 안목을 평가하는 대화를 다음과 같이 전한다. 어떤 스님이 마조화상에게 질문했다. “사구(四句)를 여의고, 백비(百非)를 떠나서 화상께서는 저에게 조사가 서쪽에서 오신 뜻을 곧바로 가르쳐 주십시오.” 마.. 벽암록 해설 2018.09.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