벽암록 해설 112

[스크랩] [碧巖錄] 제80칙 趙州初生孩子 - 조주화상과 어린애의 육식(六識)

<벽암록(碧巖錄)> 제80칙은 어떤 스님이 조주화상에게 갓 태어난 어린애도 육식을 갖추고 있는가에 대한 의문을 가지고 질문하는 대화를 다음과 같이 싣고 있다. 어떤 스님이 조주화상에게 질문했다. “갓 태어난 어린애도 안 이 비 설 신 의, 육식을 갖추고 있습니까?” 조주화상이 ..

벽암록 해설 2018.09.30

[스크랩] [碧巖錄] 제78칙 開士悟水因 - 보살(菩薩)이 목욕하며 깨닫다

<벽암록(碧巖錄)〉제78칙은 <수능엄경>에 나오는 고사를 다음과 같이 제시하여 참구하게 하고 있다. 옛날에 16명의 보살이 있었는데, 스님들을 목욕시킬 때 평상시처럼 욕실에 들어갔다가 문득 물의 인연(본질)을 깨달았다. 여러 선덕들이여! 저네들이 미묘한 감촉 또렷이 빛나며, ..

벽암록 해설 2018.09.30

[스크랩] [碧巖錄] 제76칙 丹霞喫飯也未 - 단하화상이 어디서 왔는가 묻다

<벽암록> 제76칙은 단하천연화상이 찾아온 한 스님에게 ‘어디서 왔는가’라는 질문에 대한 선문답을 다음과 같이 싣고 있다. 단하화상이 어떤 스님에게 물었다. “어디서 왔는가?” 스님은 대답했다. “산 밑에서 왔습니다.” 단화화상이 말했다. “밥은 먹었는가?” 스님이 대답했..

벽암록 해설 2018.09.30

[스크랩] [碧巖錄] 제73칙 馬祖四句百非 - 마조문하의 서당(西堂)과 백장(百丈)

<벽암록(碧巖錄)>제73칙은 마조도일화상이 문하의 수제자인 서당과 백장의 안목을 평가하는 대화를 다음과 같이 전한다. 어떤 스님이 마조화상에게 질문했다. “사구(四句)를 여의고, 백비(百非)를 떠나서 화상께서는 저에게 조사가 서쪽에서 오신 뜻을 곧바로 가르쳐 주십시오.” 마..

벽암록 해설 2018.09.23